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SMALL

Programming/Spring7

[Spring] Spring의 특징 (스프링) SpringFrameWork의 특징 ● 경량컨테이너 - 스프링은 자바객체를 담고 있는 컨테이너이다. -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들 자바 객체의 생성과 소멸과 같은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한다. - 언제든지 스프링 컨테이너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. ● POJO (Plain Old Java Object) 지원 - 특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또는 클래스를 상속하지 않는 일반 자바 객체 지원 - 스프링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자바객체는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 하거나, 클래스 상속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. - 일반적인 자바 객체를 칭하기 위한 별칭 개념이다. ● 스프링은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일관된 방법을 제공 - JDBC, JTA 또는 컨테이너가 제공하는 트랜잭션을 사용하든, 설정파일을 통해 트랜잭션.. 2022. 4. 15.
[Spring] Spring의 구조 (스프링) Spring 삼각형 Enterprise Application 개발 시 복잡함을 해결하는 Spring의 핵심 POJO - POJO (Plain Old Java Object) - 특정 환경이나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은 객체지향 원리에 충실한 자바 객체 - 테스트하기 용이하며, 객체지향 설계를 자유롭게 적용 PSA - PSA (Portable Service Abstraction) - 환경과 세부 기술의 변경과 관계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설계 원칙 - 트랜잭션 추상화, OXM 추상화, 데이터 액세스의 Exception 변환 기능 등 기술적인 복잡합은 추상화를 통해 Low Level의 기술 구현 부분과 기술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로 분리 -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.. 2022. 4. 15.
[Spring] Spring의 등장 배경 (스프링) * 너무 자세히 읽지 말고 느낌만 쓱 읽을 것. Spring Frame Work 등장 배경 ● EJB(Enterprise JavaBean)를 사용하면 Application 작성을 쉽게 할 수 있다. ● Low Level의 트랜잭션이나 상태 관리, 멀티 쓰레딩, 리소스 풀링과 같은 복잡한 Low Level의 API 따위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아무 문제없이 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다. ● EJB는 현실에서 반영은 어렵다. - 코드 수정 후 반영하는 과정 자체가 거창해 기능은 좋지만 복잡한 스펙으로 인한 개발의 효율성은 떨어진다. -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EJB서버가 필요하다. ● 웹사이트가 점점 커지면서 엔터프라이즈급의 서비스가 필요하게 된다. - 세션 빈에서 Transact.. 2022. 4. 15.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