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rogramming/HTML

[HTML] HTML 마크업 요소 (링크&iframe)

by HoonSikE 2022. 3. 14.
반응형
SMALL
링크 요소 (Anchor)

 - <a> Tag는 Anchor의 약자로 텍스트/이미지 콘텐츠에 링크를 설정하거나 다른 페이지로 연결한다.
   * 하이퍼링크
 - 지정한 페이지(다른 html 파일)나 웹 사이트(http://www.~~)나 지정한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.
 - Tag를 서로 중첩해서 사용할 수 없다.

● 소스코드

<a href="https://han-hoon.tistory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Hoongrammer로 이동">Hoongrammer로 이동</a>
속성 설명
href 이동할 페이지 또는 링크할URL을 연결합니다.
href = "이동할 페이지 또는 링크할URL"
target 새 윈도우 창을 여는 방식을 설정합니다.
target = "_blank | _top | _self | _parent"
target 속성 상세 설명
속성 값 설명
_blank  - 링크 내용이 새창이나 새탭에서 열린다.
_self  - target 속성의 기본값으로 링크가 있는 화면에서 열린다.
_parent  - 프레임을 사용했을 때 링크 내용을 부모 프레임에 표시한다.
_top  - 프레임을 사용했을 때 프레임에서 벗어나 링크 내용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.
● 결과 (<body> 내부에 입력)
Hoongrammer로 이동

링크 요소 (#Anchor)

 - 같은 페이지 안에서 특정 요소를 클릭 시 그 위치로 한 번에 이동시킨다.
 - 여기서 #은 ID를 의미한다. (comma(.)는 Class를 의미한다.)
 - 다음 두가지 유형으로 많이 사용한다.

<tag id="anchor name">text or image</tag>
<a href="#anchor name">text or image</a>

● 소스코드

<ul id="Anchor_Tag">
	<li><a href="#HTML_List">HTML List로 이동</a></li>
</ul>
<ul id="HTML_List">
	<li><a href="#Anchor_Tag">Anchor Tag 내용으로 이동</a></li>
</ul>

● 결과 (<body> 내부에 입력)

아래 하이퍼링크를 클릭해보세요


링크 요소 (map)

 - 하나의 이미지에 여러 개의 link를 할당한다. (Click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link)
 -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

<img src="../img/image.png" usemap="#image">
<map name="image">
    <area shape="rect" coords="5,5,185,80" href="http://www.naver.com" target="_blank">
    <area shape="rect" coords="190,5,345,80" href="http://www.daum.net" target="_top">
</map>

 - 이미지 영역을 표시할 때 <area> Tag를 사용한다.
 - area의 속성은 href(링크 경로), target(링크표시 대상), shape(링크로 사용할 영역의 형태) 등이 있다.
 - shape 값은 default, rect, cicle, poly가 있다.


링크 요소 (link)

 - link tag를 사용하며 문서와 외부 자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.
 - <head> 위치에 정의하며 여러 자원을 연결할 수 있다.
 - rel 속성은 현재 문서와 연결된 문서 사이의 연관관계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.
 - href 속성은 연결된 문서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.
 - 주로 스타일시트(CSS)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.

<head>
	<meta charset="UTF-8">
	<title>link example</title>
	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ss/main.css">
	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ss/main2.css">
</head>

프레임 요소 (iframe)

 - 화면의 일부분에 다른 문서를 포함하는 것이다.
   * 아래 결과를 통해 눈으로 확인하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 - src 속성은 포함시킬 외부 문서의 경로를 지정한다. (상대경로, URL 모두 가능하다.)
 - height, width 속성은 프레임 사이즈를 지정한다.
 - name 속성은 프레임의 이름을 지정한다.
 - HTML5부터는 사용을 하지 않는 추세를 보이고있다.
● 소스코드

<h3>iframe 요소</h3>
<a href="https://www.tistory.com/" target="javacontent">tistory</a>
<a href="https://han-hoon.tistory.com/" target="javacontent">hoongrammer</a>
<a href="https://www.google.com/" target="javacontent">google</a>
<a href="https://www.naver.com/" target="javacontent">naver</a>
<br><br>
<iframe src="https://www.tistory.com/" name="javacontent" width="100%" height="400px"></iframe>

● 결과 (<body> 내부에 입력)
 * 모바일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아래 하이퍼 링크들을 클릭해보세요

tistory hoongrammer google naver

 


HTML List
 

HTML List

HTML 기본 문법!!! ●  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.

han-hoon.tistory.com


  

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.

 


반응형
LIST

댓글